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W-ENTian July 2021 W-ENTian July 2021

핑거스타일(finger style), 새로운 기타의 세계 – Part. 3 연세이비인후과 심지성

연세이비인후과 / 심지성

음악인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들의 개성을 표현하려 한다. 음악에 대한 해석 및 이해, 표현, 그것을 위한 다양한 주법과 독창적인 스킬 등.. 그러한 다양성에 대한 열망이 음악의 전반적인 ‘수준’을 높여 주는 원동력이라는 생각을 한다

다양성은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지만, 이번 지면에서는 다양성을 넘어서 ‘상식을 깨뜨리는’ 핑거스타일 기타리스트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우선적인 상식. 튜닝(tuning) 에 대한 상식이 있다. 악기들 마다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톤 조절을 위한 장치들이 있기 마련이다. 보통 연주 전,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조절의 작용을 하는 데 사용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하자면 연주 이후에 건드는 경우는 거의 없게 되는 것이 튜닝을 위한 장치들이다. 일종의 악기에 대한 상식처럼 받아들여지는 부분이다.

기타에도 튜닝을 위한 헤드머신이라는 것이 달려있다. 보통 연주를 할 때, 이것을 건든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는 상식, 그것을 깨뜨린 영국 출신의 기타리스트가 있다.

Jon gomm 은 헤드머신을 연주의 도구로 사용하는 상식 외의 연주로 유명해진 기타리스트이다. 물론 그가 가진 기타 및 음악에 대한 이해도는 아주 높은 상태로, 수준 높은 연주를 구사하는 세계적 정상급 핑거스타일 기타리스트이다. 그는 개방현(지판을 짚지 않고 순수하게 줄을 튕겼을 때 나오는 소리, 맑은 음색이 특징)을 유지하면서 음정을 바꾸기 위해 헤드머신을 돌리는 방식을 선택했다… 확실히 비상식적이다.

그가 표현하고자 했던 음악은 상식적인 방식의 연주로는 힘들었나 보다… 라고 생각해 본다. 어쨌든 그의 음악은 매우 아름답다는 것이 개인적 견해이다.

다음으로 소개할 핑거스타일 기타리스트는 원래 오른손잡이였던 평범한(?) 기타리스트이다. 그는 좌측 손가락으로 강하게 현을 누름으로써 소리를 내는 해머링(hammering) 이라는 주법을 주로 이용했던 기타리스트로, 말하자면 좌완투수라고 할 수 있겠다

Billy McLaughlin, 나름 잘 나가던 기타리스트였던 그는 2005년 좌측 손에 국소성이긴장증(focal dystonia) 이라는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더 이상 좌측 손가락을 강하게 사용할 수 없었던 그는, 좌완투수를 버리고 우완투수로 전향하게 된다.

위의 영상은 2007년 그의 왼손잡이 기타리스트 복귀영상이다. 영상 후반부에 보면 전성기 시절의 오른손잡이 영상이 단편적으로 나오면서 그의 지난 고된 노력을 보여준다. 2년 가량을 거친 그의 노력의 결과물은 기존의 오른손잡이 기타리스트 때의 퍼포먼스에 비해 오히려 감성적으로 풍만해졌다는 느낌조차 들 정도로 완벽해 보인다. 그야말로 상식을 벗어나 인간승리게 가까운 모습이라는 생각이 든다.

다음의 기타리스트는 보다 상식의 틀을 벗어난다.

Andres godoy 는 칠레에서 태어난 기타를 사랑하는 음악소년이었다. 그는 14살에 불의의 사고로 오른팔을 잃게 되었고, 더 이상 기타를 치는 것은 ‘당연히’ 불가능해 보였다. 하지만 그는 외팔로도 충분히 기타를 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길을 선택했다.

좌측 손가락을 강하게 누르며 hammering 주법으로 연주를 하며, 때로 줄을 튕겨야만 원하는 소리가 날 경우가 있으면 새끼손가락으로 튕겨주며 (없는)우측 손의 역할을 한다.. 기가 막힌다.

그에게 오른 팔이 없는 것은 별 문제가 없어 보인다. 그는 현재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핑거스타일 기타리스트이다.

상식을 벗어난다는 것은 무모해 보이는 일인 듯 해 보이지만, 위의 기타리스트들이 걸어간 길을 보면 어쩌면 우리의 ‘상식’ 이라 불리는 ‘편견’이 작동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우리가 한 번쯤은 다짐해 보고 되뇌여 봤지만 완벽하게 이해하지는 못했을 지 모를 그 말,

‘불가능은 없다’

맞는 말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쓰기
이호준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2021-07-13 16:32) 수정 삭제 답글
노용훈
멋찌세요!
(2021-07-23 09:15) 답글
신유리
좋은 글 감사합니다!
핑거스타일 part 1부터 너무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연주 영상도 흥미있게 잘 보았구요...

오늘 이 글을 읽으니
정말 두손 두발 갖고 불평말고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
(2021-07-23 10:29) 수정 삭제 답글
(04385)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67, 파크타워 103동 307호 (용산동5가 24)

Copyright © by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