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 성형을 위해 진료실을 찾는 환자들과 대화하다 보면 아름다운 코, 아름다운 얼굴에 대한 기준이 나와 환자의 의견이 일치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기도 하다. 또한 대중이 선호하는 코의 모양이 시대에 따라 약간씩 변화하기도 하며, 환자들이 레퍼런스로 가지고 오는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 사진을 보면 내가 알지 못했던 유명인이 많음에 이런 트렌드 또한 따로 시간을 내어 공부를 해야 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또한 최근 점점 수술을 원하는 사람들의 연령이 낮아지고, 그들이 SNS를 언급하는 일이 많아졌다. 그런데 이들이 보여주는 SNS에서 발췌된 레퍼런스 사진은 뭔가 부자연스럽고 과장되어 보이는, 다시 말해 ‘성형을 한 티가 나는’(operated look) 얼굴도 많다. 가끔은 ‘이게 정말 아름다워 보이십니까’라고 반문하고 싶지만 애써 삼킨다. 최초로 성형을 하는 상담인데 재수술을 언급하는 환자도 많다. 의사는 재수술 없이 오랜 기간 유지되는 수술을 하는 것이 목표인 반면, 환자는 재수술을 너무나 쉽게 생각하기도 한다. 우리가 단지 환자의 의견에 끌려가기 보다는 오래도록 보아도 아름다운 얼굴을 만들기 위해, 아름다운 얼굴에 대한 최신 트렌드와 소셜 미디어가 미의 기준과 성형 수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아름다움은 주관적인 경험으로 사람마다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시각적이나 감각적으로 기쁨, 만족, 감동을 주는 것을 말한다. 아름다운 외모의 절대적 기준은 없으며, 인종에 따라, 시대의 요구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여 왔다. 고대에는 다산을 상징하는 풍만한 여성이, 로마 시대에는 날씬하고 화려한 화장을 하는 여성이, 중세 시대에는 정숙한 여성이 상징적인 미인이었다고 한다. 현대에 들어와서 90년대에서 2000년대에는 세계화의 영향으로 남성 여성 모두 서구형 외모를 지향하였으며, 현재는 각 인종의 개성을 살리면서 조화로운 외모를 지향한다. 우리나라 남성에서는 쌍꺼풀이 없고 갸름하면서 이목구비가 조화로운 얼굴이 선호되고, 서구에서는 아직 턱이 각진 남성적인 외모가 선호되지만, 선이 좀더 부드럽고 갸름한 외모도 선호하는 외모에 종종 등장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여성에서는 갸름한 턱선과 입체적인 얼굴, 서구적인 눈, 코끝에서 살짝 곡선을 띠는 콧날이 선호되며, 서구에서는 하트 모양의 입체적인 얼굴과 곡선을 이루는 콧날과 크지 않은 코, 도톰한 입술이 선호된다.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가 아름다움의 절대적 기준은 아니지만, 현재 청소년과 밀레니얼 세대에서는 유명세와 아름다움, 그리고 이에 따라오는 경제적 이득이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로 통용된다. 인스타그램 팔로워 1위인 유명인의 사진을 봐도 최근 선호되는 미적 기준과 상당히 부합한다.
국내 인스타그램 팔로워수 남자 1위인 방탄소년단 뷔(좌) 와 시리즈 트와일라잇에 출연했던 로버트 패틴슨(우).
세계 미남 1위를 뽑는 투표에서 나란히 1,2위를 한 바가 있다.
국내 인스타그램 팔로워수 여자 1위인 블랙핑크 제니(좌) 와 세계 인스타그램 팔로워수 여자 1위인 셀레나 고메즈(우).
그렇다면 현재 대중에게 선호되는 얼굴은 교과서상의 이상적인 얼굴 비율과 일치할까? 이에 대해서 2020년 Americal journal of otolaryngology 에 흥미로운 논문이 게재되었다¹. 20명의 여성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들의 얼굴을 분석하여 교과서 상의 비율과 어느정도 일치하는 지 비교하는 것이었는데, 결과에 따르면, 얼굴에 수직선을 그었을 때 비율은 평균적으로 눈의 길이와 내안각 사이의 길이가 1:0.8 로 내안각 사이의 거리가 약간 좁았으며, 수평선을 그었을 때 이마, 코 턱의 비율은 1:1:0.8 로 인중부터 턱 끝까지의 길이가 교과서보다 짧았다. 또한 Goode’s ratio 와 nasofrontal angle은 교과서 범위와 일치하고, Nasolabial angle은 평균 82.6도로 교과서상 여성에서 선호되는 95-110도보다 좁았는데, 그 이유는 도톰한 윗입술이 선호되는 경향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큰 틀에서는 교과서상의 미적 기준에 대부분 부합하나, 유행에 따라 강조되는 부위에 따라 선호되는 얼굴 비율에 변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소셜 미디어가 성형 수술 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 정도일까? 2022년도 미국의 연구 결과를 보면 코성형수술을 받은 환자의 약 77%가 SNS가 수술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는 다른 모든 이유보다 높은 비율이었다. ² 이는 가히 소셜 미디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소셜 미디어에서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친숙한 지인이나 유명인들의 성형 전후 사진, 또는 성형 후기 공유는 대중들이 성형 수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많이 완화되게 하는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며, 과거에는 터부시되던 성형수술한 티가 나는 얼굴(operated look)이 현재에는 많이 용인되는 이유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2023년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에 나온 논문에 의하면, 소셜 미디어의 수술 전후 이미지를 보고 성형 수술을 결정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수술 후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³
요약하면, 현대인들은 이전보다 외모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심지어 성형수술한 표시가 나는 얼굴 또한 용인하며, 아름답다고 생각되는 얼굴의 비율 또한 교과서적인 기준에서 조금씩 변화가 있다. 그들이 성형수술을 찾는 데에는 SNS가 아주 많은 영향을 주며, 수술에 대한 기대치는 이전보다 높다. 이런 상황에서 수술을 하는 의사는 환자들의 요구를 이해하되, 교과서적인 황금 비율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수술을 하는 것이 향후 유행의 변화에 재수술의 요구가 생기는 것을 막는 방법일 것이다. 또한, 수술 전 충분한 상담을 통해 현실과 이상의 차이를 인식시키고 환자와 의사의 수술 목표를 일치시켜야 수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