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절개술 후 적재적소에 맞는 튜브 고르기
0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김연수

기관절개술은 이비인후과의사의 가장 강력한 무기 중 하나입니다. 기관절개 튜브는 이비인후과 의사라면 흔하게 접하고 때론 튜브를 가는 일이 긴장되는 순간도 많습니다. 급성기에서 만성기까지 전공의 뿐 아니라, 요양병원, 2차병원에서도 튜브를 가는 일이 많은데 문제가 생기면 이비인후과 선생님들께 의뢰가 가고는 하죠. 이 때 기관절개 튜브의 선택은 환자의 해부학적 상태, 기관절개의 목적, 그리고 튜브사용 기간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러므로 최근 나와있는 다양한 튜브의 종류를 알고 적재적소에 맞는 튜브를 골라보도록 하겠습니다.
- 1. 커프가 있는 튜브 vs. 커프가 없는 튜브
-
-
A. Cuffed Tracheostomy Tubes
- 튜브 주위에 공기를 넣어 팽창시킬 수 있는 커프가 있습니다.
- 공기가 튜브 주위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하고, 분비물이 폐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가 기계적 환기가 필요할 때 사용됩니다.
- 일반적으로 급성기 환자들에게 추천됩니다.
-
B. Uncuffed Tracheostomy Tubes
- 환자가 독립적으로 호흡할 수 있지만 기도 지원이나 기도를 우회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 안정적인 기도를 가진 환자들의 장기 치료에 자주 사용됩니다.
- 2. Fenestrated vs. Non-Fenestrated
-
-
A. Fenestrated Tracheostomy Tubes
- 튜브의 바깥쪽 곡선에 하나 이상의 구멍이 있습니다.
- 외부 튜브가 캡으로 덮이거나 내관이 제거될 때 상부 기도를 통해 호흡할 수 있게 하여 말하기를 용이하게 합니다.
- 기관절개 튜브를 점차 제거하는 과정에 있는 환자들이나, 기계적 환기 없이도 호흡할 수 있는 장기 사용 환자들에게 적합합니다.
-
B. Non-Fenestrated Tracheostomy Tubes
- 구멍이 없습니다.
- 상부 기도 호흡이나 말하기 준비가 되지 않은 환자들에게 사용됩니다.
- 지속적인 기계적 환기가 필요하거나 흡인 위험이 있는 환자들에게 이상적입니다.
- 3. 브랜드별 튜브 비교
-
사실 이 글을 쓰게 된 목적은, 최근 들어 다양한 브랜드의 튜브가 있어서 브랜드별 비교를 하기 위해서였습니다.
-
A. ‘Portex’는 미국의 Smith medical이라는 회사의 기관절개 튜브 브랜드입니다.
-
blueline ultra suctionaid tube는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튜브입니다. 유연한 실리콘 기관절개 튜브로 알려진 브랜드입니다. Thermosensitive한 재질의 Tube와 Flange로 체온에 의해 부드러워지는 재질이라 장기 사용에도 적합합니다. Suctionaid 관을 이용하여 튜브 주변의 분비물을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
Portex adjustable tube는 기관지 협착 혹은 기관 연화증이 있는 환자들에게 적합한 길이가 긴 튜브입니다.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에 기관벽을 자극하는 경우가 적고 비만인 환자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B. ‘Tracoe’는 독일의 기관튜브를 제조하는 의료기기 브랜드입니다. tracoe tube는 일반적으로 PVC로 만들어져 반강성을 가집니다. 내관이 있어서 장기적으로 사용하기에 좋으며, 다양한 제품을 컨디션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301 : cuff가 있고 내관을 갈 수 있는 기본적인 모델입니다.
- 302 : cuff가 있는 상태에서 fenestration이 되어있어 내관이 fenestration, non-fenestrated 두 가지가 있고 회복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303 : 국내에는 보급되어있지 않은 fenestration이 되어있지 않은 cuff 없는 튜브입니다
- 304 : corking training을 하기에 적합한 fenestration 되어있는 cuff 없는 튜브입니다.
- 304 : total laryngectomy 이후 사용할 수 있는 각도가 크고 길이가 짧아 stoma stenosis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306 : suctionaid 관이 있어 aspiration이 되거나 분비물이 많은 경우에 적합한 cuff가 있는 non fenestration 튜브입니다.


- Tracoe 450 :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adjustable tube 입니다.

-
C. ‘Mera’는 일본의 SENKO medical instrument에서 나온 튜브로 소아용 튜브가 잘 개발되어 있습니다. 또한 전반적으로 재질이 부드럽고 디자인이 섬세하여 기관내 자극이 적어 선천성질환을 가지는 아이들의 부모님들께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
Mera Sofit : 기본적으로 tracoe와 비슷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내관과 외관이 분리되는 PVC 소재의 튜브입니다.

-
Mera sofit flex : portex와 비슷한 기능을 가진 튜브이지만 실리콘 소재가 더 flexable하며 suctionaid가 관내에 포함되어 있어서 stoma에 자극이 덜하다는 장접이 있습니다.

-
Mera sofit love : 신생아용 튜브로 tracoe에는 없는 소아용 pvc 튜브입니다.

-
D. ‘Koken’은 일본의 koken ltd. 회사의 의료기기로 부드러운 실리콘 소재의 다양한 기능성 튜브를 제공합니다.
-
Doube tube의 경우 내관과 외관이 분리되는 이중관 형태로, 내관이 있을 경우에는 non fenestration tube로 이용 가능하고 내관을 제거한 후 fenestration tube로 이용시에는 speech valve를 이용하여 corking training이 가능한 튜브입니다. 장점은 부드러운 재질로 자극이 적으나 길이가 다소 짧아 목이 두꺼운 경우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고 인공호흡기에는 연결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
Tracheal retainer의 경우 기관절개공만 유지하기를 원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비교적 단순한 디자인의 튜브입니다. 기관절개공의 길이에 따라 맞춤형으로 주문할 수 있으며, 타 기관절개 튜브에 비하여 관리가 쉽고 간단하고 기관내 자극이 덜합니다.

-
Montgomery t tube는 T자 모양의 튜브로 tracheal stent의 역할을 하며 성문하 협착이 있을 경우 사용하는 튜브입니다. 최근 국내 수입이 되지 않아 3D 프린팅을 통하여 주문제작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결론
기관절개 튜브의 선택은 환자의 특정 필요사항, 의학적 상태, 그리고 치료 환경을 신중하게 평가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매우 다양한 브랜드의 기관절개 튜브의 종류를 가장 잘 알고 있는 의사는 이비인후과 의사이고 이에 전문성을 가지는 것이 이비인후과의 강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더 많은 튜브가 존재하겠지만,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튜브들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Adjustable tube나 Montgomery t tube의 경우 최근 국내 수급이 잘 안되고 있고, 다른 튜브들의 경우에도 제한된 모델만 들어오는 경우가 있어 아쉬움이 있으나, 다양한 튜브들을 공부하여 환자 맞춤형 튜브를 사용하시기를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