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보건복지부 고시를 통해 ‘만성 비염 냉동치료’가 공식 신의료기술로 등재되었습니다.
이번 원고를 통해 최근 만성 비염 치료의 새로운 옵션으로 주목받고 있는 냉동치료(cryotherapy)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1. 개요
만성 비염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비강내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제, ipratropium bromide, 경구 항히스타민제, 생리식염수 비강 세척 등의 약물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합니다. [1]
그러나 전체 환자의 10–22%에서는 이러한 약물치료에 반응이 미흡하며, 이 경우 부교감신경의 작용을 차단하기 위해 vidian neurectomy, posterior nasal neurectomy 등의 수술적 치료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 [1, 2]
다만, 해당 수술들은 침습적이며 안구건조증 등의 부작용 우려로 인해 광범위하게 시행되지는 않습니다.
Cryotherapy는 이러한 수술적 치료의 대안으로 도입되었으며, posterior nasal nerve에 cryoablation을 시행하여 axonotmesis를 유도함으로써, 코막힘, 콧물 등 비염 증상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3]
2. 적응증
만성 알레르기 비염 또는 비알레르기 비염 환자 중, 적절한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코막힘, 콧물 등의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cryotherapy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단, 심한 부비동염이나 비중격 만곡증이 동반되면 이에 대한 선행 치료가 필요합니다.
3. 시술 방법
- 일반적인 비강내 시술과 동일하게 lidocaine/epinephrine pledget 또는 lidocaine spray를 이용한 국소마취를 시행합니다. [4]
- ClariFix (Stryker, Portage, MI, USA) 장비에(그림 1[3]) cryogen canister를 장전합니다.
그림 1
- 중비갑개 후단의 외측 비벽(nasal wall)에 ClariFix의 probe를 접촉합니다.
- ClariFix의 버튼을 눌러 밸브를 열면 아산화질소 냉매가 probe로 전달되어 balloon이 팽창하고, 주변으로 하얀 얼음 결정이 형성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그림 2, 3[3]). 이 냉동치료 과정을 30초간 지속합니다(-40℃ 이하로 약 30초간 동결).
그림 2
- 버튼을 다시 눌러 밸브를 닫으면 얼음 결정이 녹기 시작하며, 45초간 해동 과정을 거칩니다. balloon이 점막에 달라붙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probe를 제거합니다.
- 추가 치료가 필요할 경우, 조직이 충분히 해동될 때까지 2분간 기다린 후 canister를 교체한 뒤 동일한 과정을 반복합니다. [3, 5]
- 시술 후 packing은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지만 출혈이 있는 경우 시행할 수 있습니다.
4. 치료 효과
여러 systematic review 및 meta-analysis에 따르면 cryotherapy는 코막힘, 콧물, 코 가려움, 재채기와 같은 비염 관련 증상에 대해 유의한 호전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6-9]
전체 환자의 71%에서는 TNSS(Total Nasal Symptom Score) 점수가 기준선 대비 30% 이상 감소하여 충분한 증상 호전을 보였으며, 코막힘은 63.4%, 콧물은 77%의 환자들이 호전을 경험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6, 9]
또한 cryotherapy는 radiofrequency ablation과 유사한 치료 효과를 보였으며, 알레르기성 또는 비알레르기성 비염 여부와 관계없이 효과적이었습니다. [1, 6, 10, 11]
환자의 삶의 질(disease-specific quality of life) 또한 향상되었으며, 이러한 효과들은 시술 후 12개월까지도 지속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6-9]
다만, 중비갑개 후단이 sphenopalatine foramen보다 앞쪽에 위치한 경우에는 치료 효과가 부족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어 시술 전 CT와 같은 해부학적 평가를 고려해야 하겠습니다. [12]
5. 합병증
시술 후 통증은 약 20%, 두통은 약 10%에서 보고되었으며, 대부분 진통제 복용이나 따뜻한 음료 섭취에 반응하며 1–2시간 내 호전되었습니다. [1, 6]
이외 비강 건조감, 코피, 코막힘, 가피 형성, 안구 증상(과도한 눈물 또는 안구 건조), 입천장 감각 둔화 등의 부작용은 5% 미만으로 드물게 나타났습니다. [6, 9]
한 RCT(randomized controlled study, 무작위 대조 시험) 연구에서는 심각한 부작용으로 공황발작 1례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1]
최근 Stryker사의 냉동치료 기기인 ClariFix®의 국내 도입이 준비 중에 있습니다.
Cryotherapy는 외래에서(office-based procedure) 시행 가능하고, 비교적 안전하면서도 우수한 치료 효과가 보고되고 있어, 향후 높은 관심이 기대됩니다.
감사합니다.
Conflict of interest : none
Reference :
- Del Signore, A.G., et al., Cryotherapy for treatment of chronic rhinitis: 3-month outcomes of a randomized, sham-controlled trial. Int Forum Allergy Rhinol, 2022. 12(1): p. 51-61.
- Fieux, M., et al., Surgical and instrumental options for chronic rhinitis: A systematic review and PRISMA meta-analysis. Eur Ann Otorhinolaryngol Head Neck Dis, 2023. 140(6): p. 279-287.
- Stryker, ClariFix - Overview Presentation. Internal training document. ENT 4278-246 rB. 2023.
- Stryker, ClariFix Anesthesia Protocols. ENT 4278-137 rA. 2019.
- MOHW, HTA, and NECA, Cryoablation for Chronic Rhinitis. HTA Report No. HTA-2024-47. 2024.
- Choi, B.Y., S.H. Hwang, and D.H. Kim, Effectiveness of ClariFix (Cryoablation) of the Posterior Nasal Nerve on Nasal Symptoms in Patients With Chronic Rhin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Rhinol, 2024. 31(2): p. 57-66.
- Alanazi, F.,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cryotherapy on chronic rhin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 Arch Otorhinolaryngol, 2024. 281(10): p. 5075-5089.
- Desai, V., et al., Cryoablation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rhinitis: a systematic review. J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23. 52(1): p. 37.
- Kompelli, A.R., et al., Cry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Rhinitis: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Am J Rhinol Allergy, 2018. 32(6): p. 491-501.
- Gorelik, D., et al., Indirect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radiofrequency neurolysis and cryotherapy in the treatment of chronic rhinitis. Int Forum Allergy Rhinol, 2023. 13(2): p. 175-178.
- Kang, Y.J., G. Stybayeva, and S.H. Hwang,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Cryotherapy and Radiofrequency Ablation for Chronic Rhin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 Exp Otorhinolaryngol, 2023. 16(4): p. 369-379.
- Fan, T., et al., Correlation between middle turbinate insertion in relation to sphenopalatine foramen and failure rates of cryotherapy and radiofrequency treatment for chronic rhinitis. Int Forum Allergy Rhinol, 2023. 13(1): p. 8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