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W-ENTian

성대 수술, 국소마취로도 가능합니다 :
국소마취 KTP 레이저 성대 수술
연세하루이비인후과
김지훈

김지훈

여러분이라면 어떻게 치료하시겠습니까?
전신마취만이 답일까요?

Figure 1. 본원에서 국소마취 KTP 레이저 수술로 치료한 환자들의 수술 전 내시경 사진.
A) 유경성 성대폴립, B) 전신마취 후 발생한 성대육아종, C) 성대낭종

▶ 전신마취 없이도 가능한 성대 수술: Office-Based KTP 레이저의 임상적 대안

지금까지 성대 병변의 수술적 치료는 일반적으로 전신마취하에 현수후두경을 이용한 후두미세수술(microlaryngoscopic surgery)이 표준으로 인식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는 해부학적 구조나 전신 상태로 인해 이 방식이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 경추 신전 제한, 짧은 목·작은 턱 등의 해부학적 요인으로 sniffing position에서도 oral–pharyngeal–laryngeal axis의 정렬이 불충분해 성대 노출이 제한되는 경우
  • 고령, 심폐〮질환, 뇌혈관 질환, 당뇨 등 전신마취가 부담되는 고위험 환자군
  • 전신마취 자체에 두려움과 거부감이 있는 환자

이러한 상황에서는 마취 후에도 수술할 수 없거나, 아예 환자가 수술을 포기하게 되는 사례도 발생합니다. 이런 케이스에서 국소마취 하에 진행하는 Office-Based KTP 레이저 수술은 의미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전신마취, 기관 삽관 없이 간단한 국소마취만으로 외래에서 시행되며, 진료실 기반 장비만으로도 대부분의 양성 성대 점막 병변(폴립, 낭종, 육아종 등)에 대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절제가 가능합니다. 본원에서는 실제로 이러한 방식으로 2024년 3월부터 현재까지 100건 이상의 증례를 경험하였으며, 병변 제거는 물론 음성 지표 개선 및 수술 후 회복 경과 또한 만족스러웠습니다. 특히, Office-based KTP 레이저 수술은 수술할 수 없다고 판단된 고위험군 환자에게 치료의 접근성을 높이는 새로운 옵션으로의 임상적 가치가 있습니다.

▶ 국소마취 KTP 레이저 성대 수술: 성대 수술의 새로운 패러다임

Office-based KTP 레이저 수술은 2000년대 초부터 시도된 최신 수술 기법입니다. 하버드 의대 교수인 Steven Zeitels는 피부 치료에 사용되던 혈관용해성(photoangiolytic activity)이 높은 KTP 레이저를 성대 질환에 적용하며 성대 수술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얇은 파이버(fiber) 형태의 KTP 레이저를 굴곡형 채널내시경의 워킹 채널을 통해 삽입하여 제거하는 방식의 국소마취 수술이 가능해졌습니다.

미국의 전수조사 자료에 따르면, Office-based 레이저 수술 비율은 2020년 8.4%에서 2024년 12.1%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서구권에서 시작된 Office-based 레이저 수술이 점차 전통적 전신마취 수술을 대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Figure 2. 연세하루이비인후과의 Office-based KTP 레이저 수술 장면.

▶ 어떤 성대 병변이 국소마취로 치료 가능할까?

KTP 레이저는 혈관용해성과 저열 손상의 특성 덕분에 성대폴립, 재발성 호흡기 유두종과 같은 혈관성 병변에 먼저 적용되었습니다. 이후 성대 낭종, 레인케부종, 육아종 등 비혈관성 병변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우수한 치료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이형성증 및 조기 성문암과 같은 초기 악성 질환에도 활용되고 있는데, 초기 치료보다는 재발성 병변의 touch-up 치료에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국소마취 KTP 레이저 수술, 이렇게 진행됩니다

  • 수술 전 비강에 리도카인: 에피네프린 거즈 삽입
  • 구강 내 리도카인 스프레이 분사
  • 채널내시경을 비강으로 삽입, 성대 상부 점막에 리도카인 직접 분사
  • KTP 레이저 광섬유를 채널에 삽입, 병변에 레이저 조사
  • 잔여 병변이 있는 경우 cupforcep으로 제거
  • 마취 과정을 포함한 전체 수술 시간은 약 10~30분가량 소요
  • 수술 후 1시간 정도 경과 관찰 후 귀가

Figure 3. Office-based KTP 레이저 수술 장면. (연세하루이비인후과)
성대폴립의 기저부에 KTP 레이저를 충분히 조사한 후, cupforcep으로 절제하고 지혈함.

▶ 수술 후 목소리 휴식 기간은?

Office-based KTP 레이저 수술의 음성 휴식 기간에 대해서는 의학계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존재합니다. 전통적인 전신마취 수술의 경우, 짧게는 1주일에서 길게는 1개월가량 발성을 제한하도록 권장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와 임상 경험에 따르면, 지나치게 긴 음성 휴식이 반드시 회복에 도움이 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KTP 레이저는 정상 상피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병변의 혈관층에 선택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점막의 열 손상이 적고 회복이 빠른 편입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국소마취 하에 진행하는 Office-based KTP 레이저 수술 후 음성 휴식 기간은 1주일 미만인 경우가 많습니다. 독일 메디컬 보이스 센터의 마르쿠스 헤스(Markus Hess) 교수는 Office-based KTP 레이저 수술 후 별도의 휴식 없이 수술 다음 날부터 발성을 허용합니다. 다만 음성 휴식의 적절한 기간은 병변의 위치와 크기, 환자의 직업, 일상에서의 음성 사용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개인의 상황과 임상적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판단이 중요합니다. 본원에서는 병변에 따라 수술 후 3~7일 정도의 음성 휴식을 권장하고 있으며, 특히 직업적으로 음성을 많이 사용하는 환자들에게는 수술 전후로 맞춤형 상담을 통해 보다 섬세한 회복 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 이런 환자라면 국소마취가 더 안전하다

국소마취 KTP 레이저 수술은 특정 상황에서 전신마취 수술보다 더 유리한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우선, 고령이거나 심장이나 폐질환, 또는 신경계 질환과 같은 기저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전신마취 자체가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환자들에게는 전신마취 없이 진료실에서 시행할 수 있는 국소마취 수술이 안전한 대안이 됩니다.

또한 직장인이나 예술인, 자영업자처럼 수술 후 회복 시간을 길게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국소마취 수술은 적합합니다. 입원 없이 외래에서 수술을 받고 바로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적,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전신마취나 기관 삽관에 대해 심리적 불안이나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도 국소마취는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치료 방법입니다. 특히 이전에 전신마취하에 성대 수술을 받았으나 병변이 재발한 환자의 경우, 두 번째 수술에서는 국소마취 수술이 더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접근이 될 수 있습니다.

▶ 국소마취 수술에도 한계는 있다

국소마취 성대 수술은 유용한 치료 옵션이지만, 모든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대표적인 제한 요인으로는 심한 구역 반사, 리도카인 마취제에 대한 알레르기, 협소한 비강 구조 등이 있습니다.

기존 문헌과 본원의 임상 경험에 따르면 대부분의 환자는 큰 불편 없이 국소마취 수술을 잘 견뎌냅니다. 그러나 구역 반사가 과민한 환자의 경우, 충분한 양의 리도카인을 투여하더라도 마취 효과가 제한적입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레이저를 조사하게 되면 환자의 예기치 않은 움직임으로 인해 정상 점막에 레이저가 닿아 점막 경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마취 과정으로도 구역 반사가 조절되지 않는 환자에게는 국소마취 수술보다는 전신마취 수술이 더 안전한 선택입니다.

또한, 리도카인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에도 국소마취 수술은 제한됩니다. 본원에서는 비강 마취 시 리도카인:에피네프린 거즈를 삽입하여 비강 점막을 마취하는 동시에 알레르기 반응 여부를 관찰합니다. 리도카인 알레르기는 드물지만 중대한 이상 반응을 유발할 수 있어, 반응이 나타날 때는 즉시 모든 과정을 중단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비강이 좁은 경우에도 국소마취 수술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채널내시경은 일반적인 진단용 내시경보다 1mm가량 두꺼우므로, 비강이 좁은 동양인에게는 삽입 시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알레르기 비염, 비중격 돌출(septal spur) 등이 있는 경우에는 국소마취 후에도 내시경이 통과할 때 통각을 호소하여 수술 진행이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을 사전에 충분히 평가하여 마취 과정을 진행하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전신마취 수술로 전환하는 유연한 접근이 중요합니다.

▶ 100례 이상이 증명한 연세하루이비인후과의 치료 효과

본원은 2024년 3월 개원 이후 2025년 6월까지 100례 이상의 국소마취 성대 수술을 시행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기존 데이터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술 대상 병변은 성대폴립이 85.4%로 가장 많았고, 성대 낭종이 9.8%, 성대 육아종이 4.9%를 차지하였습니다. 대부분은 단측 병변(87.8%)이었지만, 양측 병변(12.2%)도 안전하게 수술을 시행할 수 있었습니다.

음성 지표를 살펴보면, 수술 전 평균 음성장애지수(VHI)는 47.1점이었으나, 수술 후 14.1점으로 감소하여 평균 33점의 개선을 보였습니다. 또한 Jitter는 36%, Shimmer는 41%, Soft Phonation Index(SPI)는 29%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영상 평가에서도 성대 폐쇄(glottic closure)와 점막파동(mucosal wave)의 개선이 관찰되었습니다.

Table 1. Pre- and Post-operative Voice and Videostroboscopic Outcomes

Characteristic Preoperative
(mean ± SD)
Postoperative
(mean ± SD)
Mean difference
(95% CI)
p‑value
VHI 47.09 ± 20.95 14.09 ± 12.91 −33.00
(−40.60 to −25.40)
< 0.001
Jitter (%) 2.23 ± 1.42 1.43 ± 1.13 −0.81
(−1.23 to −0.39)
< 0.001
Shimmer (%) 5.18 ± 3.81 3.08 ± 1.25 −2.10
(−3.30 to −0.90)
< 0.001
NHR (%) 0.14 ± 0.05 0.13 ± 0.03 −0.01
(−0.03 to 0.00)
0.13
vF0 SD 2.34 ± 1.67 1.45 ± 0.90 −0.89
(−1.33 to −0.46)
< 0.001
SPI 31.29 ± 13.54 22.32 ± 11.18 −8.97
(−13.03 to −4.91)
< 0.001
Glottic closure 0.92 ± 0.67 2.25 ± 0.52 1.33
(1.20 to 1.47)
< 0.001
Mucosal wave 1.80 ± 0.59 2.27 ± 0.47 0.47
(0.33 to 0.60)
< 0.001

수술 중 환자가 보고한 불편감은 비강 통증 2.95점, 인후통 2.14점, 구역 반사 2.67점으로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VAS 기준, 0점 = 전혀 불편하지 않음, 10점 = 참을 수 없을 정도로 불편함) 시술 후 ‘재시술 의향’은 평균 8.2점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0점 = 절대 다시 받고 싶지 않음, 10점 = 언제든 다시 받을 의향 있음)

Table 2. Patient‑Reported Tolerance Scores.

Characteristic Value (mean ± SD)
Nasal pain 2.95 ± 1.50
Throat pain 2.14 ± 1.67
Gag reflex 2.67 ± 1.80
Willing to repeat KTP laser surgery 8.16 ± 2.27

이러한 결과는 국소마취 KTP 레이저 수술이 서양인이 아닌 동아시아인 환자에게도 음성 기능의 유의미한 개선과 높은 수용도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치료 방법임을 보여줍니다.

Figure 4. 2023년 독일 메디컬 보이스 센터에서 개최한 Blue laser workshop에 참석하여 강의진들과 촬영한 사진.
(제일 왼쪽이 Prof. Markus Hess)

▶ ‘보조 옵션’이 아닌 ‘새로운 표준’으로

국소마취 KTP 레이저 수술은 단순히 마취 방식만 다른 수술이 아닙니다. 이는 기존의 전신마취 수술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환자 중심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외래 수술 플랫폼입니다. 이비인후과 전문의들도 이 수술의 잠재력과 효용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각 병원의 진료 환경에 맞춰 체계적으로 도입할 시점이라 생각됩니다. 앞으로의 성대 수술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보다 부담이 적고, 빠르게 회복하며, 결과도 뛰어난 수술로 변화할 것입니다. 국소마취 KTP 레이저 수술은 그 중심에 서 있는 치료 대안이라고 확신합니다.

댓글쓰기
(04385)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67, 파크타워 103동 307호 (용산동5가 24)

Copyright © by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All rights reserved.